* 전용면적 84㎡ 몇평인가요? ==> 공급면적 34평입니다.
* 전용면적 102㎡ 몇평인가요? ==> 공급면적 39평입니다.
전용면적 84㎡, 전용면적 102㎡ 정리의 이유
면적에 대한 개념이 여러가지
아파트, 오피스텔, 빌라 등 주거용 부동산을 구하려고 할 때 제일 먼저 확인하게 되는게 집의 면적입니다.
그런데 이 면적 관련된 용어와 개념이 정말 너무 헷갈리게 되어 있습니다.
예를 들면, 전용면적과 공급면적 그리고 서비스면적, 계약면적이 모두 제각각 다 다릅니다.
심지어 계산도 달라집니다.
예를 들면, 전용면적 84㎡ 몇평인지를 알고자 단순히 3.3으로 나누어 계산해 보면 25.41평입니다.
그런데 이걸 34평형이라고도 말합니다. 대체 왜죠?
이번 포스팅에서는 전용면적 84㎡ 몇평, 전용면적 102㎡ 몇평에 대해 헷갈리는 부분을 확실하게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.
[전용면적 84㎡ 단위 변환 결과]


전용면적 84㎡ 몇평, 전용면적 102㎡ 몇평에 대한 산술적 계산
㎡와 평을 계산할 때 흔히 알고 있는 산수를 가지고 계산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.
1평 = 3.3057㎡이고, 1㎡ = 0.3025평입니다.
이런 단위변환을 기준으로 전용면적 84㎡ 몇평, 전용면적 102㎡ 몇평인지를 계산해 보자면 당연히 산술적 계산 결과가 나옵니다.
84㎡ = 25.41평, 102㎡ = 30.855평입니다.
그런데 왜 대체 84㎡를 34평, 102㎡를 39평이라 하는 것일까요?
아파트 면적의 용어와 개념
왜 25평을 34평, 30평을 39평이라 하는지에 대해서 아파트 면적의 용어와 개념 그리고 그 변천사를 알게 되면 쉽게 이해 됩니다.
전용면적, 공급면적
전용면적 84㎡ 몇평, 전용면적 102㎡ 몇평인지 확인하기에 앞서 면적 관련 용어 개념 정리부터 들어가 보겠습니다.
우선 '(1)전용면적'이라 하는 것은 방, 거실, 주방, 화장실 등의 총 면적입니다. 다 더한 것이죠.
아파트와 같은 집합건물의 경우, 공용면적이 추가되는데요, 계단, 복도 등이 '(2)주거공용면적' 안에 들어가게 됩니다.
(3)공급면적은 그래서 (1)전용면적과 (2)주거공용면적을 합친 것입니다.
기타공용면적, 계약면적
공용면적에 추가되는 것이 더 있습니다.
관리사무소, 놀이터, 커뮤니티 시설(독서실, 노인정 등)의 면적입니다. 이걸 '(4)기타공용면적'이라고 합니다.
그래서 아파트 분양 시에 보면, (5)계약 면적은 (3)공급면적과 (4)기타공용면적을 합친 것이 됩니다.
서비스면적
추가되는게 또 있습니다. (6)서비스면적입니다. 바로 발코니입니다.
아파트를 짓는 기술이 발달하면서, 2베이에서 3베이, 4베이로 발달하고, 심지어 5베이까지 나올 정도입니다.
발코니가 넓은 집은 보기에도 좋지만 들어가 살 때 발코니를 확장하게 됩니다.
마루도 깔고, 보일러도 파이프를 깔아 안 춥게 만들고, 시스템 창호를 통해 안쪽은 없애고, 바깥쪽은 이중창호로 만들어 단열효과도 높입니다. 아파트가 넓어지는 것이죠.
이 발코니 서비스면적이 얼마냐에 따라 집값이 달라지게 됩니다. 사실상 체감하게 되는 집의 크기가 발코니에 영향을 많이 받게 되는 때문이죠.
면적의 체감
보통 집이 '몇평이다'라고 할 때는 공급면적(전용면적+주거공용면적)을 말합니다.
이렇게 하면아파트가 대부분이 전용면적 84㎡ 몇평, 전용면적 102㎡ 몇평인지에 따라 데동소이한 크기를 가져야 합니다.
하지만 실제로 집을 보면, '이 집은 전용면적 84㎡지만 크게 나왔다' 혹은 '여기는 전용면적 34평인데 좀 좁다'와 같은 식으로 평가를 합니다.
발코니 확장 여부에 따라 같은 전용면적이 다른 평형으로 보이는 것입니다.
여기에 단지 내 공용시설(기타 공용면적)이 얼마나 있느냐에 따라 단지와 집의 가치가 달라지게 됩니다.
오피스텔같은 경우 발코니가 없습니다. 즉 서비스 면적이 없죠.
따라서 전용면적 84㎡, 전용면적 102㎡이라 해도 아파트의와는 체감 크기가 달라지게 됩니다.
한 두 동으로 구성된 나홀로 아파트도 보실 것입니다. 여기에는 서비스 면적인 발코니가 크게 놔왔다고 해도 '기타공용면적'이 상대적으로 적게 들어갑니다. 즉 단지 내 커뮤니티 시설이 적거나 없는 경우가 많죠.
이런 세부적인 '면적'들이 모여 아파트의 가격과 가치를 결정짓게 되는 것입니다.
전용면적 84㎡ 몇평, 전용면적 102㎡ 몇평이 헷갈리는 이유
입주자모집공고에서 표기할 수 있는 면적 표현에 대한 기준이 2009년 4월 1일을 기준으로 바꼈습니다.
'주택공급에 관한 규칙'이 개정되면서 '공급면적'이 아닌 '전용면적'으로 표시하게 된 것입니다.
이전엔 '공급면적 34평'이었던 집을 2009년 4월 1일 이후로는 '전용면적 25평'이라 써야 했습니다.
공급면적과 전용면적의 기준이 다르다 해도 소비자가 볼 때 우선 들어오는 것은 '몇 평'입니다.
'34평이 아니라 25평인데, 이 가격이라고?' 이렇게 되어 버리는 것이죠.
주택공급을 하는 입장에서는 여간 손해가 아닙니다.
그래서 일부러 '공급면적 몇 평형'이라고 다시 쓰게 되었고, 그게 굳어져서 전용면적 84㎡ 몇평, 전용면적 102㎡ 몇평이라고 할 때 전용면적(25평, 30평)이 아니라 공급면적(34평, 39평)으로 말하게 된 것입니다.
전용면적 84㎡, 전용면적 102㎡가 몇 평이라는 것이 왜 이렇게 꼬아진 것인지, 이제 아시겠죠?
'일상생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오미크론 잠복기 전염 및 오미크론 재감염 우려 (0) | 2022.04.05 |
---|---|
델타크론 코로나 변이, 다음 우세종되나? (0) | 2022.03.31 |
코로나 확진자 생활지원금 신청 시 알아야 할 모든 것 (0) | 2022.03.30 |
먹는 코로나 치료제 - 팍스로비드 vs 라게브리오 (0) | 2022.03.28 |
댓글